Cloud/AWS

[AWS] EBS(Elastic Block Store)

cho2cee 2021. 12. 22. 22:51

EC2에서는 두 종류의 블록 디바이스가 스토리지로 사용된다.

첫 번째는 EBS라고 불리는 높은 가용성과 내구성을 가진 스토리지다. 

EBS 볼륨은 타입에 따라 성능이 달라지므로 시스템의 역할과 용도에 맞게 성능을 계산해서 선택해야 한다. 

성능은 IOPS(Input/Output Per Seconds)라는 단위가 사용된다. 

 

두 번째는 인스턴스 스토어라고 부르는 인스턴스 전용의 일시적인 스토리지다.

'인스턴스 전용'이란, 다른 인스턴스에 볼륨을 붙일 수 없다는 뜻이며 인스턴스가 기동중에만 사용할 수 있어 인스턴스가 정지 및 삭제하면 복원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인스턴스 스토어에는 데이터베이스 파일이나 삭제되면 곤란한 데이터를 저장하지 말아야 한다.

그러나 직접 인스턴스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인스턴스 타입에 따라서는 SSD를 이용할 수 있어 EBS 보다 높은 성능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일시적인 파일을 저장하거나 다시 생성할 수 있는 파일 등을 저장하면 빠른 성능으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EBS 볼륨 추가 

AWS 콘솔의 EC2 페이지에서 Elastic Block Store ➜ Volumes ➜ Create Volumes

  • Type : EBS 볼륨 형태 
  • Size : EBS 볼륨 크기 
  • IOPS : Type을 Provisioned IOPS로 선택해야 이 값을 설정할 수 있다. 
  • Availability Zone : 볼륨이 생성될 가용 영역, EC2 인스턴스가 생성된 가용 영역과 같은 곳에 위치해야 EC2 인스턴스에서 사용할 수 있다.
  • Snapshot ID : 생성해놓은 EBS 스냅샷이 있다면 여기서 선택할 수 있다.
  • Encryption : 볼륨 암호화 옵션 

 

EC2 인스턴스에 EBS 볼륨 장착

① 방금 생성한 10GiB EBS 볼륨을 선택하고 우클릭 ➜ Attach Volume

② EBS 볼륨을 EC2 인스턴스에 장착 

  • Volume : 볼륨 ID와 생성된 가용영역을 보여줌 
  • Instance : Instance 입력 부분을 클릭하면 현재 가용 영역에 생성된 EC2 인스턴스의 목록을 보여줌. 이전에 생성한 EC2 인스턴스를 선택 
  • Device : EC2 인스턴스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설정됨

 

EC2 인스턴스에서 EBS 볼륨 포맷

① EBS 볼륨의 장치명 확인

② SSH로 EC2 인스턴스 접속 ➜ sudo mkfs -t ext4 /dev/sdf 입력하여 EBS 볼륨 포맷

 

EC2 인스턴스에서 EBS 볼륨 마운트 

① ls /dev/sdf -al로 /dev/sdf 장치 확인 

② sudo mount /dev/sdf /mnt로 저장장치 마운트

 

 인스턴스를 재시작할 경우 자동으로 마운트되지 않으므로 fstab을 이용하여 자동 마운트 설정을 한다. 

$ sudo -i 
$ echo "/dev/sdf /mnt xfs defaults 0 0" >> /etc/fstab

 

EC2 인스턴스에서 EBS 볼륨 제거

① sudo umount /mnt 명령으로 장치 언마운트 

② 저장 장치 확인 

'

Reference

🔗 https://aws.amazon.com/ko/e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