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AWS] EIP(Elastic IP address)](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I7gUw%2FbtrpoxsDwhW%2Fy1Gf1ZLWAeqk60HFDqlZFK%2Fimg.png)
[AWS] EIP(Elastic IP address)
EIP(Elastic IP Address)는 인터넷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고정 공인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고, 인스턴스에 연결할 수 있는 서비스다. EIP를 할당받고 자신이 삭제하기 전까지 IP 주소를 유지할 수 있다.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설정되었던 Public IP 주소가 있지만, 이 주소는 인스턴스를 정지하고 기동할 때마다 변경된다. 그렇게 되면 여러가지로 불편한 점이 많으므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EIP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 주의할 점 Elastic IP를 할당받고, EC2 인스턴스에 연결하여 사용해야만 요금이 부과되지 않음. 1. EIP 할당 ① EC2 관리 콘솔에서 Elastic IPs ➜ Allocate Elastic IP address 클릭 ② Allocate 클릭 2. 인..
![[AWS] EC2 인스턴스 생성, 접속하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V8rGB%2FbtroTcD47Bd%2FaTIB0NKv4QV22zjmB3mPsK%2Fimg.png)
[AWS] EC2 인스턴스 생성, 접속하기
EC2 인스턴스 생성하기 인스턴스 : EC2에서 생성한 가상 서버, AWS에서는 서버 각각을 객체로 본다. EC2의 인스턴스 유형이 여러 가지 사양으로 나뉘어져 있는 이유는, 비용 절감과 효율성 때문이다. 1. AMI 선택 2. 인스턴스 유형 선택 t2 인스턴스 유형은 Burst 기능을 제공한다. Burst 기능은 CPU 성능을 극대화 하는 기능이며, 사용 가능 여부는 CPU 크레디트를 가졌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CloudWatch에서 CPU 크레디트 사용 현황과 남아 있는 크레디트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3. 인스턴스 세부 정보 구성 Number of Instances : 생성할 인스턴스 개수 Purchasing option : 스팟 인스턴스로 구매 옵션 Network : VPC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
![[AWS] AWS의 주요 서비스](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BReT%2FbtroRZdMavV%2F4bb8vy7fNNFzKFa6aYG4n1%2Fimg.png)
[AWS] AWS의 주요 서비스
AWS는 가상 서버 EC2와 온라인 스토리지 S3를 중심으로 다양한 레이어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1. 컴퓨팅 서비스 가상 서버 EC2 EC2는가상 서버를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급하는 서비스이다. 애플리케이션의 규모나 부하에 맞춰 사양을 높이거나 가상 서버 대수를 늘릴 수 있는 유연성을 가졌다. 예를 들어, 제공하는 웹서비스 이벤트 등으로 일시적인 접속자 수 증가가 예상된다면 피크일 때만 서버를 늘리고, 접속자 수가 줄어들면 서버를 줄일 수 있다. 비용은 평소 비용에 일시적으로 늘린 서버 비용만 추가로 지급하면 되므로 최소 비용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EC2 공식 사이트 🔗 https://aws.amazon.com/ko/ec2/instance-typ..
![[AWS] AWS 개념과 용어](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pfCTx%2FbtroTm0iugG%2FZ5JbO004JEKleUvj157i1K%2Fimg.png)
[AWS] AWS 개념과 용어
1. AWS 서비스 2. 리전 및 가용영역 리전 리전은 AWS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점(국가와 지역)을 말한다. 2018년 기준 세계 18 곳에 리전이 있으며, 각 리전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는 조금씩 다르지만 이용 가능한 서비스는 모든 리전에서 동이라게 사용할 수 있다. AWS는 서비스 운영을 위해 사용자에게 브라우저(관리 콘솔), 각종 프로그래밍 언어(SDK), 각종 OS CLI를 제공한다. AWS에서는 여러 리전을 이용한 시스템 구성을 멀티 리전 구성이라고 한다.리전을 선택할 때에는 AWS 상에서 가동하는 시스템을 이용할 사용자에게 최대한 가까운 리전을 선택한다. 가용 영역 가용 영역(AZ)은 데이터센터의 개념에 가깝지만 하나의 AZ가 여러 개의 데이터센터로 구성돼 있다. 이용자 측은 물리적인 데이..
![[Kubernetes] 2.1 클러스터 생성하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VdSGd%2Fbtrjr2LKA44%2FqkhzJ7KLuQBrdTZ13pXGV0%2Fimg.png)
[Kubernetes] 2.1 클러스터 생성하기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쿠버네티스는 컴퓨터들을 연결하여 단일 형상으로 동작하도록 컴퓨팅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높은 가용성을 제공하도록 조율한다. 사용자는 쿠버네티스의 추상화 개념을 통해 개별 머신에 얽매이지 않고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클러스터에 배포할 수 있다. 이렇게 새로운 배포 모델을 활용하려면, 애플리케이션을 개별 호스트에 독립적인 방식으로 패키징할 필요가 있다. 즉, 컨테이너화가 필요하다. 예전 배치 모델인 설치형 애플리케이션이 특정 머신의 호스트와 밀접하게 통합되는 패키지인 것에 비해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은 유연성(flexible)과 가용성(avalible)이 훨씬 높다. 쿠버네티스는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컨테이너를 분산시키고 스케줄링하는 일을 더욱 효율적으로 자동화한다. 쿠버네티스는 오픈소스..
![[Kubernetes] 1. Hello minikube](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NTbG6%2FbtqVqFALj7W%2FPcQaJr1UYYOYAVvoKkAte0%2Fimg.png)
[Kubernetes] 1. Hello minikube
디플로이먼트 만들기 쿠버네티스 파드는 관리와 네트워킹 목적으로 함께 묶여 있는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 그룹이다. 이 튜토리얼의 파드에는 단 하나의 컨테이너만 있다. 쿠버네티스 디플로이먼트는 파드의 헬스를 검사해서 파드의 컨테이너가 종료되었다면 재시작해준다. 파드의 생성 및 스케일링을 관리하는 방법으로 디플로이먼트를 권장한다. 1. kubectl create 명령어를 실행하여 파드를 관리할 디플로이먼트를 만든다. 이 파드는 제공된 Docker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컨테이너를 실행한다. $ kubectl create deployment hello-node --image=k8s.gcr.io/echoserver:1.4 deployment.apps/hello-node created 2. 디플로이먼트 보기 $ kub..